*JAVA 프로그램 언어 활용 수업순서
- 변수
- 연산자
- 제어문
- 배열
- 함수
----------여기까지 프로그래밍의 기초---
- 클래스 (생성사, 상속, 인터페이스~)
5월16일 과제
int x=2, y=6;
int z=++x * y--;
System.out.println(x);
System.out.println(y);
System.out.println(z);
-> 내가 한 분석
x=x+1 // -> 3
int z=x*y // ->3*6=18
y=y-1 // -> 5
// -> x=3, y=5, z=18
맞음! ! ! !
1. bit 연산자
1) bit : 컴퓨터 용량의 단위
2) 컴퓨터의 신호 체계 : 0, 1 (0과 1은 하나의 비트이다)
3) bit
8bit -> 1byte
예) 01000001 : A -> 총 8개의 비트로 구성해야 신호체계가 됨
4) 2byte용 언어 -> 한글, 한자, 일어 ~ (영어가 아닌 언어는 대부분 2byte)
5) 2의 10승 -> 1024byte -> Kilo Byte
2의 20승 -> Mega Byte
2의 30승 -> Giga Byte
6) 용량 크기 비교 ; KB < MB < GB < TB < NB
00000101 00000101
& 00000011 | 00000011
---------- ----------
00000001 00000111
2.shift 연산자
<< left shift : 대상*2의n승
>> right shift : 대상/2의n승
-> n은 이동bit수
수의 체계 : 2진수 0 1
8진수 0 1 2 3 4 5 6 7
10진수 0 1 2 3 4 5 6 7 8 9
16진수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->16진수는 10진수와 겹치기 때문에 10부터 표현방법이 다름
문) 10진수 5를 2진수로 바꾸시오 -> 00000101
문) 10진수 9를 2진수로 바꾸시오 -> 00001001
문) shift 연산자
*shift함수를 이용한 10진수의 2진수 변환
*10진수 16의 2진수는 2의 4승 <<(쉬프트)3 = 2의 7승
16<<3 // 00001000 -> 16
// <<3 01000000 ->128
16>>3 // 00001000 -> 16
// >>3 00000001 -> 2
3. 보수연산자
s
음수(signed값)를 표현하는 방식
1의 보수
2의 보수
부호와 절대치
'공부 > 자바 OO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월 22일 - 배열 2+연습문제 (0) | 2019.05.22 |
---|---|
5월 21일 - 배열 1 (0) | 2019.05.21 |
5월 21일 - while/ do~while 반복문+ 도형 + 연습문제 (0) | 2019.05.21 |
5월20일 - 반복문 For + 연습문제 (0) | 2019.05.20 |
5월 17일 - 제어문 + QUIZ(if, switch) (0) | 2019.05.17 |